본문

수입현황

print

연도별 추이

  • 2021년 건강기능식품의 수입액은 10억9,861만달러로 작년에 비해 20.4% 증가하였으며, 수입중량은 2만3,076톤으로 전년대비 16.4% 증가하였다.
연도별 추이:연도별 추이의 연도,수입액(억원), 전년대비 성장률(%), 수입액(만달러), 전년대비 성장률(%), 수증량(톤), 전년대비 성장률(%)의 항목에 관한 표입니다.
연도 수입액(억원) 전년대비
성장률(%)
수입액(만달러) 전년대비
성장률(%)
수입중량(톤) 전년대비
성장률(%)
2017 5,744 2.0 50,828 0.6 11,040 2.8
2018 6,727 17.1 61,097 20.2 13,491 22.2
2019 9,176 36.4 78,696 28.8 16,066 19.1
2020 10,763 17.3 91,214 15.9 19,824 23.4
2021 12,568 16.8 109,861 20.4 23,076 16.4
2022 15,010 19.4 116,178 5.8 27,040 17.2
2023 13,951 7.1 106,906 8.0 23,932 11.5
연평균
성장률(%)
15.9 4.4 13.2 14.7 13.8 4.8
※ 적용 환율: 1$= 1,130원(’17), 1,101원(’18), 1,166원(’19), 1,180원(’20), 1,144원(’21), 1,292원(’22), 1,305원(’23)
<출처 : 2023 식품 등의 생산실적 보고서, 식품의약품안전처 및 식품안전정보원 >

상위 10개 품목별 현황

  • 수입실적(금액) 순위는 복합영양소제품, 영양소·기능성복합제품, 개별인정형원료 등의 순으로 나타나났다.
상위 10개 품목별 현황:상위 10개 품목별 현황의 순위, 품목유형, 수입액(억원), 점유률(%), 수입량(톤)의 항목에 관한 표입니다.
순위 품목유형 수입액(억원) 점유율(%) 수입량(톤) 점유율(%)
10,313 100.0 15,042 100.0
1 복합영양소제품 4,083 39.6 8,077 53.7
2 영양소·기능성복합제품 2,091 20.3 2,308 15.3
3 프로바이오틱스 1,423 13.8 351 2.3
4 EPA 및 DHA 함유 유지 1,423 13.8 351 2.3
5 EPA 및 DHA 함유 유지 330 3.2 998 6.6
누계 (5품목) 9,040 87.7 13,920 92.5
6 Lactobacillus gasseri BNR17(제2017-6호) 293 2.8 47 0.3
7 비타민 C 257 2.5 442 2.9
8 밀크씨슬(카르두스 마리아누스) 추출물 231 2.2 286 1.9
9 코엔자임Q10 193 1.9 50 0.3
10 콘드로이친 황산염(제2020-1호) 163 1.6 110 0.7
누계 (10품목) 10,177 98.7 14,855 98.8
11 알로에 겔 136 1.3 187 1.2
<출처 : 2023 식품 등의 생산실적 보고서, 식품의약품안전처 및 식품안전정보원 >

제조국별 현황

  • 수입국 1위는 미국으로 전체의 43%를 차지하였고, 독일>캐나다>인도>이탈리아 순으로 상위 5개국이 전체의 77.9%를 점유하고 있다
제조국별 현황:제조국별 현황의 순위, 국가명, 수입액, 만달러, 억원, 점유율(%)의 항목에 관한 표입니다.
순위 국가명 수입액
만달러 억원 점유율(%)
103,375.20 13,356 77.9
1 미국 49,966.8 6,455.7 43
2 독일 2,1129.8 2,730 18.2
3 캐나다 8,950.8 1,156.4 7.7
4 인도 6,988.6 902.9 6.0
5 이탈리아 3,475.3 449 3.0
6 대만 3,423.1 442.3 2.9
7 중국 2,947.7 380.8 2.5
8 호주 2,325.3 300.4 2.0
9 프랑스 2,122.2 274.2 1.8
10 스페인 2,045.6 264.3 1.8
<출처 : 2023 식품 등의 생산실적 보고서, 식품의약품안전처 및 식품안전정보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