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소비시장 특성

print

건강기능식품 시대별 유행제품의 변화

  • 건강기능식품은 시대별로 시장에서 크게 반응을 보이는 품목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음. 이는 해당 연도에 기능성 인증을 받은 개별인정형 원료를 비롯하여 당시 사회적으로 이슈가 있는 제품이 크게 유행하였기 때문임
  • 1960~1970년대
    • ‘원기소’라는 비타민제가 출시되었는데, 이는 건강기능식 품 시장에서 유일한 영양보충제품으로 큰 인기를 끌었음
  • 1970~1980년대
    • 홍차버섯, 영지버섯 등 약초나 버섯의 추출물이 유행했으며, 1980년대에는 유명인이 스쿠알렌을 섭취하는 것이 방송에 나오면서 1990년대까지 인기를 끌었음
  • 2000년대 초중반
    • 기초 영양소 및 특정 성인병 위주의 기능 개선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음.
      특히 활성산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항산화 관련 제품이 인기를 끌었음.
      2000년대 후반으로 접어들며 웰빙이 사회적 이슈가 되어 질병 예방 및 건강 관리 제품에 대한 선호 현상이 나타났고, 이에 홍삼, 각종 열매 등 자연성분에서 추출해 만든 제품이 늘어남
  • 2010년 이후
    • 여성 및 어린이 건강으로 소비자의 관심 대상이 확대되었으며, 특히 여성의 건강관리와 관련된 기능성이 다양하게 인정받음.
      이는 원료의 다양화와 제형에 규제가 없어진 점이 소비층을 확대하는데 주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이며, 특히 아이들이 먹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아이들이 거부감없이 먹을 수 있는 다양한 제형의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음
  • 2015~2016년대
    • 2015년 발생한 메르스(MERS)의 영향으로 2016년까지도 면역력 관련 제품이 소비자들 사이에 가장 인기 있는 것으로 나타남.
      또한 최근에는 이너뷰티(Inner- Beauty)가 떠오르며 미용에 도움을 주는 원료와 시력, 혈당, 전립선 건강 등 특정 기능개선에 초점을 맞춘 신소재나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이 부각됨
건강기능식품 시대별 유행 제품
건강기능식품 시대별 유행 제품

건강기능식품 시대별 유행 제품에 대하여 시기, 유행원료, 기능성 내용 및 특징을 제공합니다.

시기 유행원료 기능성 내용 및 특징
1960~70년대 비타민 식욕을 돋우는 제품, 필수적인 영양소 보충
1970~80년대 비타민 면역력 증대
버섯추출물 영양 보충
1980~90년대 스쿠알렌 혈액순환에 좋고, 피가 맑아짐
키토산 혈액순환, 면역력강화, 영양공급 등
2000년대 홍삼 면역기능 강화
클로렐라 5대 영양소, 식이섬유, 비타민, 미네랄 함유
감마리놀렌산 관절염 예방, 혈액순환 촉진, 여성질환 예방
2010년대 밀크씨슬 간 건강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체지방 분해, 감소
2016년 루테인 눈 건강
프로바이오틱스 면역기능 강화, 장 건강